목록분류 전체보기 (403)
happy coding
문제 상현이가 가르치는 아이폰 앱 개발 수업의 수강생은 원섭, 세희, 상근, 숭, 강수이다. 어제 이 수업의 기말고사가 있었고, 상현이는 지금 학생들의 기말고사 시험지를 채점하고 있다. 기말고사 점수가 40점 이상인 학생들은 그 점수 그대로 자신의 성적이 된다. 하지만, 40점 미만인 학생들은 보충학습을 듣는 조건을 수락하면 40점을 받게 된다. 보충학습은 거부할 수 없기 때문에, 40점 미만인 학생들은 항상 40점을 받게 된다. 학생 5명의 점수가 주어졌을 때, 평균 점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총 5줄로 이루어져 있고, 원섭이의 점수, 세희의 점수, 상근이의 점수, 숭이의 점수, 강수의 점수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점수는 모두 0점 이상, 100점 이하인 5의 배수이다. 따라서, ..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B < 1010000) 출력 첫째 줄에 A+B를 출력한다. import java.io.*; import java.math.BigInteger; import java.util.*;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BigInteger A = ne..
문제 B진법 수 N이 주어진다. 이 수를 10진법으로 바꿔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10진법을 넘어가는 진법은 숫자로 표시할 수 없는 자리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알파벳 대문자를 사용한다. A: 10, B: 11, ..., F: 15, ..., Y: 34, Z: 35 입력 첫째 줄에 N과 B가 주어진다. (2 ≤ B ≤ 36) B진법 수 N을 10진법으로 바꾸면, 항상 10억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첫째 줄에 B진법 수 N을 10진법으로 출력한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20; // 과목 개수 double totalScore = 0; // 총 점수 double totalCredit = 0; // 총 학점 boolean hasPFGrade = false; // P/F 과목 여부 for (int i = 0; i < N;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
문제 N개의 10진수 정수가 주어진다. 플레이어에게 정수를 그냥 정렬하는 것은 너무 쉽기 때문에, 아래 기준에 따라 정수를 정렬하기로 한다. 1. 10진수 정수를 2진수로 나타냈을 때, 2진수에 포함된 1의 개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한다. 2. 1의 개수가 같다면, 원래 10진수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한다. 플레이어가 정수를 잘 정렬했을 때, 앞에서 K번째에 위치한 수는 어떤 수가 될지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정수의 수 N과 플레이어가 찾으려는 정수의 위치 K가 공백을 두고 주어진다. 둘째 줄에 정수 a1, ... , aN이 공백을 두고 주어진다. - 1
문제 구름 햄버거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서 맛있기로 유명하다. 구름 햄버거는 N개의 재료를 순서대로 쌓아서 만들고, 구름 햄버거의 맛은 사용된 모든 재료의 맛의 정도를 더한 값이다. 완벽한 구름 햄버거를 만들기 위해서는 맛의 정도가 가장 높은 재료를 기준으로 위랑 아래로 갈수록 재료의 맛의 정도가 감소하거나 같아야 한다. 플레이어는 N개의 재료를 순서대로 쌓아서 구름 햄버거를 하나 만들었다. i번째 쌓은 재료의 맛의 정도가 ki라고 할 때, 플레이어가 만든 구름 햄버거의 맛을 구해보자. 만약 플레이어가 완벽하지 않은 구름 햄버거를 만들었다면 0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구름 햄버거에 들어가는 재료의 개수 N개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에 플레이어가 햄버거를 만들 때 쓴 재료의 맛의 정도 k1,..
문제 보통의 계산기는 한 번에 하나의 계산 결과만 나타낼 수 있다. 그래서 여러 개의 계산 결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전 계산 결과를 따로 기록해 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플레이어는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합 계산기를 만들었다. 합 계산기는 여러 개의 계산식을 입력받은 뒤, 각각의 계산 결과를 모두 합해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합 계산기에 입력할 수 있는 계산식은 아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계산식은 형태이다. - 에는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의 네 가지 사칙 연산 기호가 들어갈 수 있다. 이때, 나눗셈 결과의 나머지는 버린다. 합 계산기에 입력할 T 개의 계산식이 주어질 때, 합 계산기의 출력 결과를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식의 개수 T 가 주어진다. 다음 T 개의 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