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파이썬 (2)
happy coding
TCPschool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표준 입출력 함수 출력에는 print()함수, 입력에는 input()함수를 이용한다. print()함수에서는, 더하기 기호를 사용하여 여러 데이터를 한 번에 출력할 수 있으며, 문자열에 한해 더하기 기호를 생략해도 같은 결과를 출력해준다. 또한, 쉼표를 사용하면 띄어쓰기를 하나씩 삽입하여 출력하기도 한다. 그리고 숫자나 문자열뿐만 아니라 배열과 같은 데이터까지도 출력할 수 있다. input()함수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받아 그 값을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주석(comments) 주석이란 해당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설명을 적거나 개발자가 디버깅을 위해 작성한 코드를 가리킨다. 파이썬에서는 이 주석을..
TCP school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C언어나 자바와는 달리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인 파이썬의 특징은 1. 인터프리터 언어이다. 2. 문법이 쉽고 간결하다. 3. 생산성이 높아 개발 속도가 빠르다. 가 있다. 여기서 인터프리터(interpreter)란 소스 코드를 처음부터 한 라인씩 차례대로 해석하며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는데, 한 라인씩 바로 기계어로 변환하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컴파일러 언어에 비해 다소 느리지만, 코드가 완전히 작성되지 않아도 작성된 부분까지만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대화형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곧바로 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파이썬은 블록을 중괄호로 구분하는 C언어나 자바와는 달리 소스코드의 들여쓰기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