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elf study/언어의 기본부터 (39)
happy coding
TCP school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제어문(control flow statements) C 프로그램에는 절차적 프로그램(procedural program) 또는 명령형 프로그램(Imperative program)에 속하며, 많은 명령문이 포함되어 있고 이 명령문은 처음부터 끝까지 순서대로 실행된다. 따라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프로그램의 이러한 순차적인 흐름을 제어해야만 한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문을 제어문이라고 한다. 제어문에는 조건문, 반복문 등이 있는데, 제어문에 속하는 명령문들은 중괄호{}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영역을 블록(block)이라고 한다.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 조건문은 주어진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별도의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명령문이다. ..
TCP school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연산자(operator) 연산자란 프로그램의 산술식이나 연산식을 표현하고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다양한 기호를 의미한다.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 산술 연산자는 사칙연산을 다루는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산자이다. 또, 모두 2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 피연산자를 더한다. - 왼쪽의 피연산자에서 오른쪽 피연산자를 뺀다. * 왼쪽의 피연산자에 오른쪽 피연산자를 곱한다.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 피연산자로 나눈다. % 왼쪽의 피연산자를 오른쪽 피연산자로 나눈 다음, 그 나머지를 반환한다. 연산자의 우선순위(operator preced..
TCP school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타입 변환(type conversion)은 다른 타입끼리의 연산 중에, 하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바꾸는 행위를 말한다. 표현 범위가 좁은 타입에서 더 넓은 타입으로의 타입 변환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데이터 손실이 발생한다. 타입 변환은 크게 1. 묵시적 타입 변환(자동 타입 변환) 2. 명시적 타입 변환(강제 타입 변환)이 있다. 묵시적 타입 변환(자동 타입 변환, implicit type conversion) 묵시적 타입 변환은 대입 연산이나 산술 연산에서 C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실행해주는 타입 변환을 가리킨다. C언어에서는 대입 연산 시 연산자의 오른쪽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타입이 연산자의 왼쪽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타입으로 묵시적 ..
TCPschool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변수(variable)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는데, 다시 말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된 값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포인터 변수가 있고, 관련된 정보를 한 번에 묶어 처리하는 사용자 정의 구조체 변수가 있다. 변수 정수형 변수 char, int, long 실수형 변수 float, double 변수의 이름 생성 규칙 1. 영문자(대소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로 구성된다. 2. 숫자로 시작될 수 없다. 3. 이름 사이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 4. C언어에서 미리 정의된 키워드(keyword)는 사용할 수..
TCPschool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변수(variable)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는데, 다시 말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이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된 값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포인터 변수가 있고, 관련된 정보를 한 번에 묶어 처리하는 사용자 정의 구조체 변수가 있다. 변수 정수형 변수 char, int, long 실수형 변수 float, double 변수의 이름 생성 규칙 1. 영문자(대소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로 구성된다. 2. 숫자로 시작될 수 없다. 3. 이름 사이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 4. C언어에서 미리 정의된 키워드(keyword)는 사용할 수..
TCPschool을 보고 공부한 내용입니다. printf()함수 printf() 함수는 C언어의 표준 출력 함수이고 원형은 밑과 같다. printf에서의 f는 formatted의 약자이며, 서식화된 출력을 지원한다는 의미이다. 이 함수에서는 출력할 데이터를 어떤 서식에 맞춰 출력할지 서식 지정자를 통해 직접 지정이 가능하다. #include int printf(const char* restrict format, ...); printf("sentence.\n"); printf("%d개의 문장\n", 55); int형 데이터를 나타내기 위해 %d라는 서식 지정자를 사용하고, 줄바꿈은 \n이라는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사용해 표현한다. 이스케이프 시퀀스(escape sequence) \' 작은 따옴표 \" 큰 따..
TCP school을 통해 공부한 내용입니다. C 프로그램의 특징 1. 기본단위는 함수이다. 2. 함수 내의 각 명령문은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한다. 3.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4. 자유 형식을 허용한다. 기본 단위는 함수이다. 모든 프로그램은 반드시 main()함수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이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일 먼저 main()함수를 찾아 호출하기 때문이다. main()함수의 모든 명령문을 수행한 후에는 0을 반환하는데, 💚 함수 내의 각 명령문은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한다. 함수란 기능을 가진 것인데, 이러한 기능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장을 명령문(statement)라고 한다. 함수 내의 명령문은 언제나 위에서부터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되며, 언제나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