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oding study (270)
happy coding
import java.io.*; import java.lang.*;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주어진 정수의 개수 n 입력받기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n개의 정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입력받음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max = -1000001; int min =..
import java.io.*; import java.lang.*;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정수 n을 입력받음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 (n = Math.pow(10, 6)) { //이걸 어떻게 해야 하지.. } else { int output = findCom(n); System.out.println(output); } } //n이상의 합성수 구하는 메서드 private static int find..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import java.lang.*;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중앙대학교 재학생의 수 n 입력받음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n개의 투표 내역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짐. 찬성 1 반대 -1 기권 0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arr = new int[n]..
이진수로 변환하는 이유 : 주어진 과녁 점수를 비트 단위로 나태내서, 각 과녁별로 해당하는 비트를 1로 표시되는 형태로 만든다. 이렇게 하면 해당하는 과녁을 맞혔는지 여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import java.lang.*;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A와 B의 영점 사격 총합 점수 입력 받음, 구분은 공백으로.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
리스트는 동적 배열을 나타낸다. 초기 입력으로부터 배열의 크기를 미리 알 수 없을 때 유용하다. >> 메모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자바에서 리스트는, arrayList나 LinkedList와 같은 클래스를 사용해 구현할 수 있다. > java.util 1. ArrayList 사용 방법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ArrayList 생성 ArrayList arrayList = new ArrayList(); // 원소 추가 arrayList.add(10); arrayList.add(20); arrayList.add(30); // 원소 접근 int element = ar..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import java.lang.*;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cnt = 0; int max = 0; for (int i=0 ; i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import java.lang.*;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 입력 받음, 집은 n+1에 있음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t[n+1]; //둘째 줄에 i에 해당하는 레몬의 개수를 arr에 차례대로 저장 (공백 기준)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import java.lang.*;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주어진 수 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copy = n; int cnt = 0; //최소 1번은 반복문을 돌아야 하니까 do { //n 쪼갠 값 새로운 n에 대입하고 카운트 올리기 n = ((n%10)*10) + (((n/10) + (n%10))%10); cnt++; } w..